1. 기본 특징
- EC2에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드라이버
- USB 저장소를 장착했다가 해제하는 것처럼 생각하면 good
- 처음 스토리지를 생성한 그 리전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(스냅샷은 리전 변경 가능) 1 개의 EC2에만 연결할 수 있음
- 미리 용량을 설정해주어야 한다(provisioned)
2. EBS Snapshot
- EBS를 캡쳐하여 저장한 형태
- 스냅샷은 리전에 제한이 없음
- 스냅샷의 세 가지 기능
1) EBS Snapshot Archive
- "Archive Tier"에 스냅샷 이동(70% cost 저렴)
- restore에 걸리는 시간은 최소 24시간 ~ 최대 72시간
2) Recycle Bin for EBS Snapshot
- 직역하면 임시 삭제 쓰레기통
- 바로 버리지 않고 여기에 두었다가 삭제 -> 실수로 삭제하는 것을 대비
- 보관 기간은 1day ~ 1year 사이에서 설정 가능
3) Fast Snapshot Restore
- restore을 빠르게 진행(no latency)
- 근데,, 비용이 상당히 비쌈 -> 비용이 우선순위가 낮을 때는 굿
3. EBS 볼륨 유형
1. gp(general purpose)
- 가장 비용 효율적이면서 low latency
gp3 | gp2 |
기본 3000 IOPS & 125MB 처리량 | 볼륨 사이즈랑 IOPS가 linked. 최대 5300GB -> 16000 IOPS |
최대 16000 IOPS & 1000MiB처리량. 즉, IOPS랑 처리량을 각각 설정할 수 있음 |
small gp2의 경우 최대 3000 IOPS |
2. io
- 크리티컬한 어플리케이션이나 DB성능이 중요한 경우 사용
- 무조건 io2가 io1보다 좋다. 같은 가격으로 다른 성능을 내기 때문..!
- io2 : 최대 PIOPS(Provisioned IOPS)는 64000으로 매우 높다. 물론 이경우는 Nitro EC2를 사용하는 경우..! 나머지의 경우는 최대 32000이다. 그래도 높다.
- 스토리지 사이즈와 IOPS를 각각 설정할 수 있음(분리되어 있음)
- Multi Attatch : 한 리전 안에서 최대 16개의 EC2에 동시에 연결할 수 있는 기능. 동시에 읽고 쓰기 가능
3. HDD
- boot에 사용하지는 못함
st1 | sc1 |
처리량에 최적화. 최대 500Mib | cold HDD |
데이터 웨어하우스, 빅데이터, 로그 프로세싱 등에 사용하기 적절 | 자주 접근하지 않는 데이터 저장하는 용도에 적절. 비용이 중요한 시나리오에서 사용하기 적절 |
Reference
[Udemy - 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Associate]
https://www.udemy.com/course/best-aws-certified-solutions-architect-associate/